uml 클래스 다이어그램 만들기


시나리오


1. 회원가입 신청

2. 아이디 중복확인

3. 회원가입 진행

시나리오

tip: 클래스 다이어그램은 상단이 변수, 하단이 func이다.



1. 개요: 인터넷 쇼핑몰에 쇼핑 등을 위해 회원가입하는 usecase

2. 관계: 고객 = 개시자 이며, 조건은 다음과 같다.

  • 고객이 회원가입 기능을 실행하는 사전 조건과,  회원가입 됨과 동시에 고객 정보가 저장되고, 샵의 회원이 되는 사후 조건 이 있다. 




  • 3. 흐름: 아래와 같다.

   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    1. 먼저 회원가입을 신청한다 (고객)

    -> 이 때, 고객은 개인 정보 를 입력하게 된다.

    /*Member*/
    
    이름 (name),
    아이디 (id),
    비밀번호(pwd),
    주소(address),
    메일(email), 
    휴대폰번호(phone)


    2. 고객이 입력한 id의 중복여부를 확인한다.

    -> idCheck 에서 Member에서 입력한 id (타입: String) 을  가지고 온 뒤, 중복 확인

    -> MemberController의 경우 돌려줄 id 값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void를  , MemberService는 해당 id값이 n개나 존재하는 지 int로 각각 중복값 여부를 확인 및 반환한다.

    ->이 때, 중복되는 값이 없다면 3번으로 넘어간다.




    3. 회원가입 진행

    - insertMember 변수를 생성하고, 그 객체를  MemberService, MemberDao 로 넘긴다.

    
    -InsertMember-
    
    name:String,
    id:String,
    pwd:Strinng,
    address:String, 
    email:String,
    phone:String
      
    /*(반환값 void*/





    4. 로그인
   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 id, pwd 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누르는 순간, MemberController에 있던 id,pwd 값이 MemberService, MemberDao 로 넘어가고, db내 일치하는 유저정보 (id, pass)를 가져와 login proc가 진행된다. 
   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





   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    4. alt (대안)

    5. exception (예외)


   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    3-8) - kh
    서블릿 클래스는 기능별로 각 각 따로 만들게 된다.





    화면에서 넘어오는 값은 map형식으로 request에 담겨 있으며, 최종 결과값은 response에 담겨 있다.



    uml에서는 의존 관계를 많이 사용한다. 의존 관계가 표시 되어 있어야 정상이지만, 다 아는 사실이기 때문에 표시하지 않는다.

     
    중간프로젝트의 경우, 서블릿이 컨트롤러 역할을 하였다면, 파이널 에서는 그 역할을 메소드가 한다.

    spring에서는 서비스: interface로 구현하여야 한다.